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book:do:chapter64

도덕경 64장

其安易持(기안이지) : 안정되어야 유지하기 쉽고 其未兆易謀(기미조이모) : 조짐이 나타나기 전이라야 도모하기 쉽다. 其脆易泮(기취이반) : 무르면 녹기 쉽고 其微易散(기미이산) : 작으면 흩어지기 쉽다 爲之於未有(위지어미유) : 문제가 터지기 전에 도모하고 治之於未亂(치지어미란) : 혼란해지기 전에 다스려야 한다. 合抱之木(합포지목) : 아름드리나무도 生於毫末(생어호말) : 털끝 같은 싹에서 나오고 九層之臺(구층지대) : 구층 누대도 起於累土(기어루토) : 한 줌 흙이 쌓여 올라가고 千里之行(천리지행) : 천릿길도 始於足下(시어족하) : 한 걸음부터 시작된다. 爲者敗之(위자패지) : 억지로 하면 실패하고 執者失之(집자실지) : 집착하면 잃는다. 是以聖人無爲故無敗(시이성인무위고무패) : 성인은 무위하기 때문에 실패하지 않으며 無執故無失(무집고무실) : 집착하지 않기 때문에 잃지 않는다. 民之從事(민지종사) : 사람이 일을 쫓을 때는 常於幾成而敗之(상어기성이패지) : 언제나 일이 이루어질 때쯤 실패한다. 愼終如始(신종여시) : 시작할 때처럼 마지막에도 신중하면 則無敗事(즉무패사) : 실패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是以聖人欲不欲(시이성인욕불욕) : 그러므로 성인은 욕망을 걷어내고 不貴難得之貨(불귀난득지화) : 구하기 어려운 재물을 귀하게 여기지 아니하고 學不學(학불학) : 배우지 않음으로 배우고 復衆人之所過(복중인지소과) : 대중이 간과하기 쉬운 것으로 돌아가서 以輔萬物之自然(이보만물지자연) : 만물이 자연스럽게 생성되도록 도와줄 뿐 而不敢爲(이불감위) : 억지로 일을 도모하지 않는다.

book/do/chapter64.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4/15 10:05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