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GaramX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home
»
book
»
do
»
chapter38
추적:
•
white
•
boeun
•
trivia
book:do:chapter38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도덕경 38장 ====== 上德不德(상덕부덕) : 상덕은 자신의 덕을 내세우지 않는다. 是以有德(시이유덕) : 그러기에 덕이 있게 된다. 下德不失德(하덕불실덕) : 하덕은 덕을 잃지 않으려 아등바등 한다. 是以無德(시이무덕) : 그러기에 덕이 없게 된다. 上德無爲而無以爲(상덕무위이무이위) : 상덕은 무위하며 억지로 일을 도모하지 않는다. 下德爲之而有以爲(하덕위지이유이위) : 하덕은 억지로 일을 도모하니 일이 번잡해진다. 上仁爲之而有以爲(상인위지이유이위) : 상인은 억지로 일을 도모하니 일이 번잡해진다. 上義爲之而有以爲(상의위지이유이위) : 상의는 억지로 일을 도모하니 일이 번잡해진다. 上禮爲之而莫之應(상례위지이막지응) : 상예는 억지로 일을 도모하니 조용히 응대함만 못하다. 則攘臂而扔之(즉양비이잉지) : 소매를 걷고 끌어당겨 사람을 부담스럽게 한다. 故失道而後德(고실도이후덕) : 도가 없어지면 덕이 나타나고 失德而後仁(실덕이후인) : 덕이 없어지면 인이 나타나고 失仁而後義(실인이후의) : 인이 없어지면 의가 나타나고 失義而後禮(실의이후례) : 의가 없어지면 예가 나타난다. 夫禮者(부례자) : 예는 忠信之薄(충신지박) : 충성과 신의의 얄팍한 껍질이며 而亂之首(이란지수) : 혼란의 시작이다. 前識者(전식자) : 앞을 내다보는 것은 道之華(도지화) : 도의 꽃이며 而愚之始(이우지시) : 어리석음의 시작이다. 是以大丈夫處其厚(시이대장부처기후) : 그러므로 대장부는 두터움에 머물고 不居其薄(불거기박) : 얄팍한 데 거하지 않는다. 處其實(처기실) : 열매에 머무르고 不居其華(불거기화) : 꽃에 거하지 않는다. 故去彼取此(고거피취차) :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한다. * [[book:do:chapter37|37장]] * 38장 * [[book:do:chapter39|39장]]
book/do/chapter38.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4/15 10:05 저자
127.0.0.1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