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python:django:ubuntu [2025/04/19 13:49] – [Apache2 설정] taekgu | python:django:ubuntu [2025/04/20 00:51] (현재) – [Apache2 설정] taekgu | ||
|---|---|---|---|
| 줄 37: | 줄 37: | ||
| <code conf maro_uwsgi.ini> | <code conf maro_uwsgi.ini> | ||
| [uwsgi] | [uwsgi] | ||
| - | uid=mama | + | uid=akfd |
| - | base=/home/mama/garam | + | base=/home/akfd/pro |
| # the virtualenv (full path) | # the virtualenv (full path) | ||
| - | home=/home/mama/marovenv | + | home=/home/akfd/venb |
| - | chdir=/ | + | chdir=/ |
| module=conf.wsgi: | module=conf.wsgi: | ||
| 줄 56: | 줄 56: | ||
| max-requests=5000 | max-requests=5000 | ||
| - | daemonize=/ | + | daemonize=/ |
| # HTTP-PORT | # HTTP-PORT | ||
| http-socket=: | http-socket=: | ||
| # UNIX socket 파일의 위치입니다. socket file의 위치를 잡아줘도 되며 localhost와 port를 명시해줘도 됩니다. | # UNIX socket 파일의 위치입니다. socket file의 위치를 잡아줘도 되며 localhost와 port를 명시해줘도 됩니다. | ||
| - | socket=/ | + | socket=/ |
| # UNIX socket 소유자 | # UNIX socket 소유자 | ||
| chown-socket=%(uid): | chown-socket=%(uid): | ||
| 줄 131: | 줄 131: | ||
| Apache에서는 proxy_uwsgi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 Apache에서는 proxy_uwsgi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 ||
| - | <code conf maro.conf> | + | <code conf zaro.conf> |
| # create new | # create new | ||
| - | ProxyPass /naro unix:/run/uwsgi/app/ | + | ProxyPass /nakkko |
| - | ProxyPass | + | |
| - | # socket파일과 uwsgi:// 를 같이 설정해야 잘 접속되더라... | + | Alias /grrr /var/ggggg/grrr |
| + | < | ||
| + | Require all granted | ||
| + | </Directory> | ||
| + | |||
| + | Alias /static | ||
| + | < | ||
| + | Require all granted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