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node:home [2023/04/07 13:13] – [npm (Node Package Manager)] taekgu | node:home [2025/04/15 10:05]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 줄 1: | 줄 1: | ||
| + | ====== nvm을 이용한 여러버전의 node.js관리하지 ====== | ||
| + | ==== Linux ==== | ||
| + | <code bash> | ||
| + | curl https:// | ||
| + | -- 또는 | ||
| + | curl -s -o- https:// | ||
| + | </ | ||
| + | ==== macOS ==== | ||
| + | <code bash> | ||
| + | brew install nvm | ||
| + | </ | ||
| + | |||
| + | ==== Windows ==== | ||
| + | https:// | ||
| + | |||
| + | nvm설치를 먼저한다. | ||
| + | |||
| + | 그리고 | ||
| + | <code sh> | ||
| + | nvm install 18 | ||
| + | nvm use 18 | ||
| + | </ | ||
| + | ==== nvm 사용하여 node.js 설치 ==== | ||
| + | <code bash> | ||
| + | nvm ls-remote | ||
| + | nvm ls <-- 설치된 목록 | ||
| + | </ | ||
| + | === node 설치 === | ||
| + | <code bash> | ||
| + | nvm install --lts=gallium | ||
| + | nvm install --lts=hydrogen | ||
| + | nvm install --lts <-- 최신 LTS버전을 설치 | ||
| + | </ | ||
| + | === node 버전 전환 === | ||
| + | <code bash> | ||
| + | nvm use 18 | ||
| + | nvm use 16 | ||
| + | nvm use system | ||
| + | </ | ||
| + | ====== Node.js ====== | ||
| + | |||
| + | Node.js는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특히 서버 사이드) 개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작성 언어로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하며 Non-blocking I/O와 단일 스레드 이벤트 루프를 통한 높은 처리 성능을 가지고 있다. | ||
| + | |||
| + | 내장 HTTP 서버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있어 웹 서버에서 아파치 등의 별도의 소프트웨어 없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웹 서버의 동작에 있어 더 많은 통제를 가능케 한다 | ||
| + | |||
| + | ===== nodejs INSTALL ===== | ||
| + | Node.js LTS(v16.x) : | ||
| + | <code sh> | ||
| + | # Using Ubuntu | ||
| + | curl -fsSL https:// | ||
| + |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 ||
| + | |||
| + | # Using Debian, as root | ||
| + | curl -fsSL https:// | ||
| + | apt-get install -y nodejs | ||
| + | </ | ||
| + | Node.js 현재(v18.x) : | ||
| + | <code sh> | ||
| + | # Using Ubuntu | ||
| + | curl -fsSL https:// | ||
| + |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 ||
| + | |||
| + | # Using Debian, as root | ||
| + | curl -fsSL https:// | ||
| + | apt-get install -y nodejs | ||
| + | </ | ||
| + | ===== npm (Node Package Manager) ===== | ||
| + | |||
| + | npm (노드 패키지 매니저/ | ||
| + | |||
| + | ==== Windows modules Directory ==== | ||
| + | 나의 PC에 있는 node_modules위치는 C: | ||
| + | |||
| + | |||
| + | ==== 주요 modules 설치 ==== | ||
| + | <code bash> | ||
| + | npm install -g typescript | ||
| + | npm install -g @angular/ | ||
| + | npm install -g eslint | ||
| + | npm install -g create-react-app | ||
| + | </ | ||
| + | ==== install시 옵션 ==== | ||
| + | CLI을 통한 설치시 --save, --save-dev옵션의 차이 | ||
| + | <code bash> | ||
| + | npm install mocha --save | ||
| + | npm install mocha --save-dev | ||
| + | </ | ||
| + | --save는 package.json의 dependencies에 추가하며 | ||
| + | --save-dev는 package.json의 dev-Dependencies에 추가된다. | ||
| + | ====== Node.js Update ====== | ||
| + | 1.Node.js 의 패키지매니저인 npm 을 이용해서 대부분의 플러그인을 설치하는데요. 캐시가 남아있는 경우 에러가 날 수 있다고 합니다. 캐시를 미리 삭제해줍니다. | ||
| + | <code bash> | ||
| + | $ sudo npm cache clean -f | ||
| + | </ | ||
| + | 2.n설치 | ||
| + | <code bash> | ||
| + | $ sudo npm install -g n | ||
| + | </ | ||
| + | 3.npm 설치하기 | ||
| + | <code bash> | ||
| + | $ sudo n [latest|stable|lts|version] | ||
| + | </ | ||
| + | 4.npm 버전선택 | ||
| + | 단순히 n을 입력하면 설치된 node.js버전을 확인 할 수 있고 그중에 선택할 수 있다. | ||
| + | <code bash> | ||
| + | $ sudo n | ||
| + | </ | ||
| + | |||
| + | ==== MacOS ==== | ||
| + | brew update | ||
| + | brew upgrade node | ||
| + | |||
| + | 현재설치된 소프트웨어 | ||
| + | brew list | ||
| + | 설치가능한 목록 | ||
| + | brew search node | ||
| + | |||
| + | 버전별설치 | ||
| + | brew install node@18 | ||
| + | ==== React Application 시작 ==== | ||
| + | |||
| + | * Node.js | ||
| + | * 최신버전확인 | ||
| + | * <code bash>npm -v</ | ||
| + | * <code bash> | ||
| + | * npm upgrade | ||
| + | * sudo npm install -g npm | ||
| + | * Project 생성방법 | ||
| + | - Node.js최신버전확인 | ||
| + | * npm -v | ||
| + | * sudo npm install -g npm | ||
| + | - create-react-app | ||
| + | * <code bash>npm install -g create-react-app</ | ||
| + | - create PROJECT | ||
| + | - <code bash> | ||
| + | - 확인 | ||
| + | - <code bash>npm start</ | ||
| + | - htt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