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 mac:ds_store [2023/11/18 05:23] – [‘.DS_STORE' 삭제하는 방법!] taekgu | mac:ds_store [2025/04/15 10:05]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 줄 1: | 줄 1: | ||
| + | ====== DS_STORE 란? ====== | ||
| + | |||
| + | Desktop Services Store 의 약자로 , 애플에서 정의한 파일 포맷입니다. | ||
| + | |||
| + | 애플의 맥OS X 시스템이 폴더에 접근할 때 생기며, 해당 폴더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 ||
| + | 즉, mac의 finder로 폴더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생기는 파일입니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는 해당 디렉토리의 특성, 구조 등에 관한 내용을 말합니다. | ||
| + | |||
| + | .DS_store 파일은 프로젝트와 하등 관련없는 파일로 , | ||
| + | 맥에서 생성되지만, | ||
| + | |||
| + | |||
| + | 하지만, | ||
| + | |||
| + | 1) spotlight comment 정보 : mac에서는 파일에 원하는 태그를 걸면, 파일탐색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spotlight에서 빠르게 검색이 가능하다. 구조체의 cmmt 영역에서 얻을 수 있다. | ||
| + | |||
| + | 2) 파일의 타임스탬프 정보 : 구조체의 modD, moDD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인데, | ||
| + | |||
| + | 3) 해당 디렉토리의 논리적, 물리적 크기에 대한 정보 : 구조체의 logS, lg1S, phyS, ph1S 에서 얻을 수 있다. | ||
| + | |||
| + | 파일의 변화가 즉각적으로 DS_STORE 파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분석하는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고는 하지만 .. 어쨌든 포렌식 관점에서는 유용하다고 합니다. (그래도 저는 지울거에요!) | ||
| + | |||
| + | |||
| + | ===== ‘.DS_STORE' | ||
| + | |||
| + | |||
| + | 1) 유틸로 삭제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커맨드로 쉽게 지우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 ||
| + | <code bash> | ||
| + | sudo find / -type f -name ' | ||
| + | </ | ||
| + | |||
| + | 2) ‘.DS_store’를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분들은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
| + | <code bash> | ||
| + | defaults write com.apple.desktopservices DSDontWriteNetworkStores ture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