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linux:shell [2024/11/12 16:55] – taekgu | linux:shell [2025/04/15 10:05]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 줄 1: | 줄 1: | ||
| + | <code bash> | ||
| + | #!/bin/bash | ||
| + | # 디렉토리 존재 유무 확인 | ||
| + | if [ ! -d 디렉토리명 ] ; then | ||
| + | mkdir 디렉토리명 | ||
| + | fi | ||
| + | |||
| + | # 파일 존재 유무 확인 | ||
| + | if [ ! -e 디렉토리명 ] ; then | ||
| + | touch 파일명 | ||
| + | fi | ||
| + | |||
| + | if test -f " | ||
| + | echo ls -l manage.py | ||
| + | fi | ||
| + | |||
| + | file_name=" | ||
| + | # 파일이 있을 경우 메세지 출력 | ||
| + | if test -e $file_name | ||
| + | then echo " | ||
| + | fi | ||
| + | |||
| + | # 파일이 없을 경우 메세지 출력(! 사용) | ||
| + | if ! test -e $file_name | ||
| + | then echo " | ||
| + | fi | ||
| + | |||
| + | # 디렉토리의 존재 여부는 -d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 ||
| + | |||
| + | dir_name="/ | ||
| + | # 디렉토리가 있을 경우 메세지 출력 | ||
| + | if test -d $dir_name | ||
| + | then echo " | ||
| + | fi | ||
| + | |||
| + | # test 명령은 대괄호([ ])로 대체해서 쓸 수도 있다. 바로 위의 if 조건문 예시를 아래과 같이 써도 된다. | ||
| + | |||
| + | if [ -d $dir_name ] | ||
| + | then echo " | ||
| + | fi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