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linux:grep [2024/02/13 14:55] – taekgu | linux:grep [2025/04/15 10:05]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 줄 1: | 줄 1: | ||
| + | ====== grep ====== | ||
| + | grep은 많이 사용하였지만 어떻게 사용하는 지 알아보지 않았다. | ||
| + | PATTERN을 이용하는 방법이 재미가 좀 있다. | ||
| + | standard input으로 부터 검색한다. | ||
| + | <code bash> | ||
| + | $ echo "Good Morning" | ||
| + | </ | ||
| + | // output // | ||
| + | Good Morn**ing** | ||
| + | |||
| + | === 3.12 ~ 3.19 사이조회 === | ||
| + | <code bash> | ||
| + | pyenv install --list | grep " 3\.1[2-9]" | ||
| + | </ | ||
| + | ===== egrep ===== | ||
| + | egrep은 변도의 프로그램인 줄 알았네요? | ||
| + | <code bash egrep> | ||
| + | #!/bin/sh | ||
| + | cmd=${0## | ||
| + | exec grep -E " | ||
| + | </ | ||
| + | |||
| + | 사용 | ||
| + | <code bash> | ||
| + | $ apt list | egrep " | ||
| + | </ | ||
| + | // 결과 // | ||
| + | < | ||
| + | postgresql-10/ | ||
| + | postgresql-11/ | ||
| + | postgresql-12/ | ||
| + | postgresql-13/ | ||
| + | postgresql-14/ | ||
| + | postgresql-15/ | ||
| + | postgresql-16/ | ||
| + | postgresql/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