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git:gitserver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git:gitserver [2018/02/11 15:33] – [깃(git) 서버 만들기] taekgugit:gitserver [2025/04/15 10:05]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 서버에 Git 설치하기 =====+====== 서버에 Git 설치하기 ======
 서버에 Git을 설치해서 공개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서버에 Git을 설치해서 공개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Bare저장소 ==== ==== Bare저장소 ====
 +<code bash>
 +git init --bare study.git
 +</code>
 +
 +**xxxxx**
 어떤 서버를 설치하더라도 일단 저장소를 Bare 저장소로 만들어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Bare 저장소는 워킹 디렉토리가 없는 저장소이다. --bare 옵션을 주고 Clone 하면 새로운 Bare 저장소가 만들어진다. Bare 저장소 디렉토리는 관례에 따라 .git 확장자로 끝난다. 어떤 서버를 설치하더라도 일단 저장소를 Bare 저장소로 만들어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Bare 저장소는 워킹 디렉토리가 없는 저장소이다. --bare 옵션을 주고 Clone 하면 새로운 Bare 저장소가 만들어진다. Bare 저장소 디렉토리는 관례에 따라 .git 확장자로 끝난다.
  
줄 13: 줄 18:
   $ cp -Rf my_project/.git my_project.git   $ cp -Rf my_project/.git my_project.git
 물론 설정상의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저장소의 내용만 고려한다면 같다고 볼 수 있다. 워킹 디렉토리가 없는 Git 저장소인 데다가 별도의 디렉토리도 하나 만들었다는 점에서는 같다. 물론 설정상의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저장소의 내용만 고려한다면 같다고 볼 수 있다. 워킹 디렉토리가 없는 Git 저장소인 데다가 별도의 디렉토리도 하나 만들었다는 점에서는 같다.
 +**xxxxx**
 ==== 서버에 Bare 저장소 넣기 ==== ==== 서버에 Bare 저장소 넣기 ====
 Bare 저장소는 이제 만들었으니까 서버에 넣고 프로토콜을 설정한다. git.example.com`라는 이름의 서버를 하나 준비하자. 그리고 그 서버에 SSH로 접속할 수 있게 만들고 Git 저장소를 `/srv/git 디렉토리에 저장할 것이다. 서버에 /srv/git 디렉토리가 있다고 가정하고 아래와 같이 Bare 저장소를 복사한다. Bare 저장소는 이제 만들었으니까 서버에 넣고 프로토콜을 설정한다. git.example.com`라는 이름의 서버를 하나 준비하자. 그리고 그 서버에 SSH로 접속할 수 있게 만들고 Git 저장소를 `/srv/git 디렉토리에 저장할 것이다. 서버에 /srv/git 디렉토리가 있다고 가정하고 아래와 같이 Bare 저장소를 복사한다.
줄 32: 줄 37:
 그러니까 Git 서버를 구축하는데 사람이 할 일은 정말 별로 없다. SSH로 접속할 수 있도록 서버에 계정을 만들고 Bare 저장소를 사람들이 읽고 쓸 수 있는 곳에 넣어 두기만 하면 된다. 이제 준비됐다. 더 필요한 것은 없다. 그러니까 Git 서버를 구축하는데 사람이 할 일은 정말 별로 없다. SSH로 접속할 수 있도록 서버에 계정을 만들고 Bare 저장소를 사람들이 읽고 쓸 수 있는 곳에 넣어 두기만 하면 된다. 이제 준비됐다. 더 필요한 것은 없다.
  
 +==== 서버 사용시 고려사항 ====
 다음 절에서는 좀 더 정교하게 설정하는 법을 살펴볼 것이다. 사용자에게 계정을 만들어 주는 법, 저장소를 읽고 쓸 수 있게 하는 법, 웹 UI를 설정하는 법 등은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동료와 함께 개발할 때 꼭 필요한 것은 SSH 서버와 Bare 저장소뿐이라는 것만은 꼭 기억하자. 다음 절에서는 좀 더 정교하게 설정하는 법을 살펴볼 것이다. 사용자에게 계정을 만들어 주는 법, 저장소를 읽고 쓸 수 있게 하는 법, 웹 UI를 설정하는 법 등은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동료와 함께 개발할 때 꼭 필요한 것은 SSH 서버와 Bare 저장소뿐이라는 것만은 꼭 기억하자.
  
줄 51: 줄 57:
 https://git-scm.com/book/ko/v2/Git-서버-서버에-Git-설치하기 https://git-scm.com/book/ko/v2/Git-서버-서버에-Git-설치하기
  
-===== 깃(git) 서버 만들기 =====+====== 깃(git) 서버 만들기 ======
  
 깃헙만 사용하지말고 깃서버도 만들어서 사용해보자. 깃헙만 사용하지말고 깃서버도 만들어서 사용해보자.
줄 79: 줄 85:
 === 자료출처 === === 자료출처 ===
 http://blog.jeonghwan.net/깃git-서버-만들기/ http://blog.jeonghwan.net/깃git-서버-만들기/
 +
 +====== git remote HEAD 변경 ======
 +clone 해온 remote 브랜치의 HEAD를 변경하고 싶을 때,
 +예를 들면, remote 브랜치 일부만 남기고 싶을 때, HEAD가 지울 브랜치를 가리킬 경우,
 +다음과 같이 하여 remote의 HEAD(즉, origin/HEAD)를 바꿀 수 있다.
 +<code bash>
 +git remote set-head origin <remote branch name>
 +</code>
 +
git/gitserver.151836323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4/15 10:05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