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 git:branch [2024/09/14 23:42] – taekgu | git:branch [2025/04/15 10:05]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 줄 1: | 줄 1: | ||
| + | ====== git branch ====== | ||
| + | |||
| + | 로컬브랜치이름변경 | ||
| + | git branch -m new-branch-name | ||
| + | |||
| + | Git은 fetch 단계에서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는데 이 때 원격 추적 브랜치를 사용하게 된다. 원격 브랜치에 대한 원격 추적 브랜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원격 추적 브랜치를 만들고 이 원격 추적 브랜치에 변경 사항을 공유 받게 된다. | ||
| + | git fetch < | ||
| + | |||
| + | mybranch 라는 브랜치 제거. 두번째 명령어는 삭제된 브렌치를 리모트 저장소에도 동기화 | ||
| + | git branch -d mybranch | ||
| + | git push origin -d mybranch | ||
| + | |||
| + | note : git push origin -d mybranch 삭제 명령 후에 git unable to delete remote ref does not exist 라는 메세지가 나온다면 remote 된 git 서버와의 최신 동기화가 이루어 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깃허브나 비트버킷 사이트로 들어가서 정보를 조회해 보면 삭제된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git branch -r 로 브랜치를 조회를 하면 삭제한 브랜치가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결론은 최신 동기화를 해주면 된다. git fetch -p origin 여기서 -p 옵션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remote 브랜치 정보는 삭제하는 것이다. | ||
| + | |||
| + | 서버와 최신 정보 동기화 시키고 삭제된 브랜치 내역 제거 | ||
| + | git fetch -p origin | ||
| + | |||
| + | -D 옵션은 강제 삭제를 의미한다. 만약 머지 중이거나 수정 중인 상태라면 error 를 띄울텐데 그래도 상관없이 지운다면 해당 옵션으로 지우면 된다 | ||
| + | git branch -D mybranch | ||
| + | |||
| + | ===== git checkout ===== | ||
| + | branch 전환을 위해서 사용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