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book:script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book:script [2025/03/27 02:14] – 만듦 taekgubook:script [2025/04/15 10:05]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 라이브러리 ======
 +===== 척추동물과 연체동물의 눈 =====
 +사람(척추동물)의 눈과 문어(연체동물)의 눈은 신시경 연결방법에 결정적 차이가 있다.
 +문어의 시신경들은 망막의 뒷편에 자연스레 연결되어 있는 반면, 우리 인가의 경우 시신경과 혈관들이 눈의 내부로 들어가서 눈을 감싸는 3개의 층의 가장 안쪽이 망막의 앞에 퍼져 있다.
 +이러한 해부학적인 차이로 인하여 인간은 누구나 시각적 맹점(blind spot)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바로 시신경 다발과 혈관이 눈을 벗어나기 위해 뚫려진 구멍에는 빛을 인지하는 간상세포와 원추세포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망막 위에 분포하는 혈관들도 제각기 그림자를 만들어 여러가지 맹점들을 만든다. 이와 같은 구조는 이러한 맹점과 같은 단순한 문제 이외에도 심각한 의학적인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는데, 혈관이 망막의 앞에 위치하기 때문에 출혈에 의해서도 망막에 커다란 그림자를 만들어 심각한 시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런 문제점에 의해서 인간의 눈보다 훨씬 더 합리적으로 설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망막의 구조는 인간만의 문제가 아니라 거의 모든 척추동물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로서 바로 인류가 거쳐온 진화의 역사에서 찾을 수 있다. 척추동물의 눈은 투명한 피부 밑에 있는 빛에 민감한 세포들로부터 진화하였기 때문에 광수용체 세포의 위를 덮고 있던 혈관과 신경들이 현재와 같은 형태로 진화하게 되었다.
 +
 +===== 두족류의 눈 =====
 +
 +두족류와 척추동물 내에서 카메라 눈의 진화가 평행 진화인지 아니면 수렴 진화인지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여전히 존재하지만, 대부분 해결되었다. 현재의 입장은 그들의 유사한 카메라 타입의 눈을 위한 수렴 진화의 입장이다.
 +
 +==== 평행 진화 ====
 +
 +이 눈 발달에 대한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공통 조상이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는 것은 평행 진화 상태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이것은 눈 발달을 위해 발현되는 Pax6 유전자를 포함하는 모든 양반 유기체에 의해 입증된다.[9]
 +
 +==== 수렴 진화 ====
 +
 +수렴 진화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 공통 조상이 두족류와 척추동물보다 상당한 차이로 앞선다고 말한다. 카메라형 눈이라는 표현을 가진 공통 조상은 두족류에서 카메라형 눈이 진화하기 약 2억 7천만 년 전에 존재했을 것이고 척추동물에서 카메라형 눈이 진화하기 약 1억 1천만 년에서 2억 6천만 년 전에 존재했을 것이다.[10]이에 대한 또 다른 증거의 원천은 두족류와 척추동물 모두에서 발생하는 Pax6의 독립적인 변종으로 인한 발현의 차이이다. 두족류는 독립적으로 생겨나고 척추동물과 공유하지 않는 게놈에 Pax6의 다섯 가지 변종을 포함하고 있지만, 척추동물의 Pax6와 비교할 때 비슷한 유전자 발현을 허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