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book:do:chapter19 [2022/10/23 02:13] – 만듦 taekgu | book:do:chapter19 [2025/04/15 10:05]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 줄 1: | 줄 1: | ||
| + | ====== 도덕경 19장 ====== | ||
| + | 絶聖棄智(절성기지) : 성스러움을 끊고 지혜를 버리면 | ||
| + | |||
| + | 民利百倍(민리백배) : 백성들의 이로움이 백배가 된다. | ||
| + | |||
| + | 絶仁棄義(절인기의) : 인을 끊고 의를 버리면 | ||
| + | |||
| + | 民復孝慈(민복효자) : 백성들이 효성과 자애로움을 회복할 것이다. | ||
| + | |||
| + | 絶巧棄利(절교기리) : 기교를 끊고 이해관계를 버리면 | ||
| + | |||
| + | 盜賊無有(도적무유) : 도둑이 없어진다. | ||
| + | |||
| + | 此三者以爲文不足(차삼자이위문불족) : 이 세 가지는 글로써 그 속뜻을 표현하기 어렵다. | ||
| + | |||
| + | 故令有所屬(고령유소속) : 그러므로 한 마디 덧붙이자면 | ||
| + | |||
| + | 見素抱樸(견소포박) : 소박하게 살고 | ||
| + | |||
| + | 少私寡欲(소사과욕) : 사사로운 욕심을 버려라. | ||
| + | |||
| + | |||
| + | * [[book: | ||
| + | * 19장 | ||
| + | * [[book: | ||